정보통신기사/필기

[정보통신기사] 2과목 정리 (필기)

메롱메롱메롱나 2024. 9. 30. 22:52

정보통신기기

정보통신기사 2과목 필기 기출문제를 풀면서 개념정리를 같이 하려고 한다.

 

*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(USN)

(1) 기본 구성 요소 : 

- 제어부 (MCU, Micro Controller Unit)

- 센서부 (Sensor)

- 통신부 (Radio)

더보기

* 버스부는 USN의 기본 구성요소가 아님.

  - 버스부 :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통로

  - USN : 주로 환경정보의 감지, 데이터 처리, 무선 통신 등. 이 안에서 버스는 독립적인 구성요소 아님


* 디지털 통신 장비

(1) DSU (Digital Service Unit)

: 가입자선에 위치하고 단말기와 디지털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, 유니폴라 신호를 바이폴라 신호로 변환

 

(2) CSU (Channel Service Unit)

: 디지털 회선의 신호를 적절한 형태로 조절하여 전송 품질을 유지하고, 디지털 네트워크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

 

(3) 다중화기 (Multiplexer) 

: 여러 개의 긴호를 하나의 전송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도록 다중화 수행

 

(4) 변복조기 (Modem)

: 디지털 신호 -> 아날로그 산호, 아날로그 신호 -> 디지털 신호


* 아날로그 신호 -> 디지털 신호 변환 과정

표본화 - 양자화 - 부호화 - 펄스발생기 - 통신채널 (표양부펄통..)


* 다중화 설비 출력 속도

- 출력 속도 = 채널 속도 * 채널 수

더보기

Q. 1200bps 속도를 갖는 4채널을 다중화 한다면 다중화 설비 출력 속도는 최소 얼마?

A. 1,200bps * 4 = 4,800bps


* 재난안전통신망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음성 코덱?

- EVS

- WB-AMR

- NB-AMR

더보기

VP9 : 비디오 코덱


* 멀티미디어기기

(1) 비디오텍스

- 대용량의 축적정보 제공

- 쌍방형 통신 기능을 갖는 검색.회하형 정보 서비스

- 시간제한 없음, 화면의 전송이 느리고 interface필요

- 정보제공자와 운용 주체가 같다 (X) -> 같을 수도 다를 수도 있다. 

 


* SIP(session intiation protocol)

: 멀티미디어 통신 세션(VoIP, 비디오 통화)을 제어

- SIP장비의 등록

- SIP 장비간 호 처리

- SIP 호 연결 proxy가능

- 멀티미디어 정보관리 및 제공 (X)

더보기

SIP 서버는 세션 제어만을 담당, 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나 관리는 안함.


* WebRTC

: 웹브라우저간에 플러그인의 도움없이 서로 통신을 할 수 잇도록 설계되어 음성, 영상 통화 등 영상회의 시스템에 사용되는 API


* IPTV 보안 기술

(1) CAS (conditional access system)

: 조건부 접근 시스템, 특정 사용자에게만 접근 권한을 부여하여 접근하게 함 

- 인증된 사용자만이 프로그램을 수신

- 다단계 암호화 키 사용

 

(2) DRM (digital right management)

: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

- 콘텐츠 복제와 유통방지를 목적

- 암호화 및 사용권한 제어

- 양방향 통신이 가능 (단방향 X)


 

*디지털 지상파 HDTV방송의 전송방식 표준 기술

- 변조방식 : 8-VSB

- 반송파 방식 : 단일 캐리어

- 음성 부호화 : Dolby AC-2


* 홈 네트워크 장비 보안 요구사항

"인증"

- 비밀번호 및 인증정보관리

- 사용자 인증(관리자 인증 포함)

- 세션관리


* RFID의 구성요소

- 태그는 배터리 내장 유무에 따라 능동형, 수동형으로 구분

- 태그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IC칩과 안테나로 구성 (배터리 아님X)

- 리더기는 주파수 발진 제어 및 수신 데이터의 해독을 실시

- 리더기는 용도에 따라 고정형, 이동형, 휴대형으로 구분


* 단말형 인공지능 

- 중앙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단말에서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결과를 획득

- 효율적 처리를 위해 신경망 처리 장치와 같은 하드웨어와 경량화된 소프트웨어 최적화 솔루션 등 이용

- 보안성과 실시간성이 가장 큰 장점

- 단말기 자체적으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학습하고, 오프라인에서는 학습할 수 없다. (X)

   -> 온, 오프라인에서 모두 학습이 가능

 


* 가상기술

(1) 혼합현실 (MR, mixed reality)

: 가상의 정보를 현실세계에 덧입혀 제공하는 기술에서 나아가, 현실과 가상이 자연스럽게 결합되어 두 환경이 공존하는 기술

 

(2) 가상현실 (VR, virtual reality)

: 완전히 가상으로 구현된 3차원 환경에 사용자 몰입

 

(3) 증강현실 (AR, augmented reality)

: 현실서계에 가상의 정보를 겹쳐보이게하는 기술

 

(4) 홀로그램

: 이미지를 공중에 투사하여 입체적으로 


* DPI (Dots Per Inch)

: 프린터의 인쇄 이미지 해상도나 선명도를 표시하는 방식

 


* 전력제어

(1) 폐루프 전력제어

: 통화 중 이동국의 출력을 기지국이 수신 가능한 최소 전력이 되도록 최소화

 -> 기지국 양방향 통화용량 최대화, 단말기 배터리 수명 연장

 

(2) 순방향 전력제어

: 기지국이 단말기의 수신 상태를 확인하고, 자신의 송신전력을 조절하여 단말기에 적절한 신호 전달

 

(3) 개방루프 전력제어

: 단말기가 기지국의 명령없이 독립적으로 송신전력을 조절

 

(4) 외부루프 전력제어

: 단말기, 기지국의 통신 요구 조건이나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송신 전력을 조정


* 신호 방식

- 전화기 <-> 교환기 : 가입자선

- 교환기 <-> 교환기 : 중계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