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보통신기사/필기

[정보통신기사] 3과목 정리 (필기)

메롱메롱메롱나 2024. 10. 1. 00:05

정보통신네트워크

정보통신기사 3과목 필기 기출문제를 풀면서 개념정리를 같이 하려고 한다.

 

* 순서제어, 오류제어, 회복처리, 흐름제어 등의 기능을 실행하는 계층?

: 데이터링크 계층

더보기

*트랜스포트 계층(전송) : 흐름제어, 오류제어

*데이터링크 : 흐름제어, 오류제어, 순서제어, 회복처리


* 슬라이딩 윈도우 흐름제어 기법

: 전송 데이터의 양을 조절하여 송신측이 너무 많은 데이터를 보내지 않도록 제한

 

- 송신측에서 ACK프레임을 수신하면 윈도우 크기가 늘어남(조절)

- 윈도우는 전송 및 수신측에서 만들어진 버퍼의 크기

- ACK수신 없이 여러개의 프레임을 연속 전송 가능(윈도우 크기에 따라)

더보기

네트워크에 혼잡현상이 발생하면 윈도우 크기를 1로 감소 

-> 혼잡이 발생하면 윈도우 크기를 절반을 줄이거나 가변적으로 크기 조정. 고정적으로 1로 줄이지는 않음


*SNMP 데이터 수집 방식

- 관리자 -> 에이전트 Request 메시지

- 에이전트 -> 관리자 Response 메시지

- 이벤트 발생 시, 에이전트 -> 관리자 Trap 메시지

- 이벤트가 발생하면 관리자나 에이전트 중 먼저 인지한곳에서 Trap메시지를 보낸다

  -> Trap은 에이전트가 보냄


* CSMA/CD 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/collision detection)

: 이더넷에서 장치가 매체에 접속하는 것을 관리하는 방법

  -> 데이터 충돌을 감지하고 이를 해소하는 방식


* L2 스위치

: VLAN으로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일이 이루어지는 네트워크 장치


* Trace

: 라우터를 구성한 후 사용하는 명령

-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하나씩 분석해줌

- TTL값을 하나씩 증가시키면서 목적지로 보내서 돌아오는 에러메시지를 가지고 경로를 추적


* 플러딩 (Flooding)

: IP기반 네트워크의 OSPF에서 갱신정보를 인접 라우터에 전송하고 인접 라우터는 다시 자신의 인접 라우터에 갱신정보를 즉시 전달하여 갱신정보가 네트워크 전역으로 신속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과정


* 정보시스템 가동률

더보기

Q. 평균 고장발생 간격이 23시간, 평군 복구시간이 1시간인 정보통신시스템의 1일 가동률은 약 몇 %?

A.

가동률 = ( 평균 고장발생 간격 / 평균 고장발생 간격 + 평균 복구 시간) * 100 = (23/24)*100 = 95.83%


* 중앙집중처리방식 (CAMA)

- 다수의 교환국망일 때 유리

- 신뢰성이 좋은 전용회선 필요

- 과금센터 구축에 큰 경비가 들어감

-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

   -> 중앙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구축에는 큰 비용이지만, 유지보수에는 용이(적은 비용)


* 패킷교환방식

- 축적전달(store and forward)방식

- 패킷을 큐에 저장하였다가 전송

- X.25 교환망에 적용

- 지연이 적게 요구되는 서비스에 적합 (지연발생 가능)

   -> 가상회선교환방식에 해당


* ATM 셀

: 고정된 작은 크기의 패킷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

 

ATM 셀의 전체 크기 : 53byte

-> 5byte헤더 + 48byte 사용자 데이터로 구성


* 정지위성

- 지구 표면으로부터 정지궤도의 고도는 약 36,000km

- 지구의 자전주기와 동일하게 지구를 공전

- 지구의 인력과 위성의 원심력이 일치하는 공간에 위치

- 지구 전체 커버 위성 수는 90도 간격으로 최소 4개

   -> 3개로 지구 커버 가능

 


* SDN 장점

- 확장성

- 유연성

- 비용절감

- 넓은 대역폭


* IPTV

: 서비스 회사가 자신의 네트워크 망을 통해 영상을 스트리밍 해주는 서비스


* 컴퓨터, 단말기, 제어장치 등과 같은 응용 프로새서 간에 데이터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요소?

: 개방형 시스템

 

 

728x90